Note-Notice

➽|시스템 구축 - 설계/정의 RAC

ARCHITECTURE : RAC 검증

원본 링크

➽|DBMS 설계 및 정의 - 계획

DATABASE 구축 시 필수 검토/설계 고려 사항

  • ORACLE Product 설치 대상 서버 - 시스템 타입 검토
    • 구성 DBMS 제품의 타입 검토
      • 신규 또는 기존 시스템의 종속 여부 (벤치마킹 대상의 기존 시스템 존재여부)
      • Single / RAC 시스템 구성 여부
      • DBMS Edition 선택
        • 단 RAC의 경우 Enterprise 만 가능.
      • 기존 시스템의 DR 여부
        • 기존 시스템 Edition 및 구성 타입과 Resource 대응 가능한지 여부

    • 구성 제품의 시스템 타입에 따라 라이센스 별 최소 필요한 CPU CORE(Socket) 검토
      • Standard Edition : MAX 2 Socket
      • Enterprise Edition : 2 Socket 이상, 영업 문의 필수.

  • 구성 시스템 기대치 산정 및 H/W 요건 분석
    • (최소) 시스템 부하량 산정
      • 인프라 시스템 관리 기준 부하 측정 임계치 사전 확인.
        • 임계치 기준 부하량의 절반을 평균 부하의 기준으로 구성 목표로 산정을 권고
      • 기존 참고 및 전환 시스템 (벤치마킹 시스템) 기준 부하량의 2배
      • 신규 시스템의 경우, 로직 처리를 위한 TPS 예상 및 데이터 사이징의 2배
    • 상기 부하량 기준을 처리 가능한 스펙의 H/W 시스템 요건 정리 필요.

    • (필수) 사전 시스템 검토사항
      • 기존 시스템 스펙의 CPU / MEMORY 증설은 최소 30% 이상 증설 검토

        • CPU 증설 및 설계 목표 중
          • 실제 벤치마킹 시스템의 동시 세션 (Active Session) 최대치 확인
            • 해당 세션 수 1개를 Processor의 1 가중치로 계산. 최소 필요 코어 수 계산
            • 벤치마킹 시스템 없을 시, AP/WAS 상에 동시 수행 LOGIC 최대치 확인.
          • H/W CPU Core Clock 증분 검토
            • 기존 시스템보다 빠른 클럭의 H/W로 구성 여부 검토 (최소 > 10-15%)
          • Core (Socket) 갯수 증분 시, 라이센스 영향도 사전 확인

        • Memory 증설 및 설계 목표 중
          • 전체 메모리 최대 사용량 외로 OS 점유 비율 15%를 추가 부하로 계산
          • 최소 벤치마킹 시스템의 SGA 사이즈의 50% , PGA 사이즈의 30% 증설 고려

  • 구성 시스템 사용량 및 기능 기준 라이센스 정보 검토 필수.
    • (권장) 벤치마킹 시스템의 사용 기능 정보 확인
      • Oracle Product의 Edition 및 사용 기능 검토 수행
      • 신규 구축 시스템에도 동일 기능 사용을 권장
        • 불필요한 기능은 사전 기능 제거 가능 여부 확인

    • (권장) 데이터 오브젝트 및 수행 로직에 따른 검토 사항
      • 기존 병렬 Parallel, 파티션 Partition 기능 사용 시 검토사항

      • DBMS 내에서 병렬작업을 통한 로직 처리 부분 확인
        • 병렬 처리 로직 필수 여부 검토

      • DB PARTITION 기능 관련 검토 사항
        • DB 내 데이터 객체(TABLE/INDEX) 중 30Gb 이상 객체 존재 시 검토 사항
          • 해당 객체가 자주 사용이 되는지 여부 (데이터조작 및 조회)
          • 각 객체가 컬럼의 수가 많고, OLTP 로직에 사용되는지 여부
          • 위 사항에 해당하는 객체가 전체 DB의 10-15% 이상 점유할 시
        • 기존 벤치마킹 시스템이 파티션 기능을 사용하는지 여부
        • 위 상기 사항중 2개 이상 해당 시 파티션 기능 적용 검토
          • 단, 파티션 기능 사용 시 Enterprise Edition 기능 필수.

원본 링크

➽|Hardware 구성 검증

ORACLE 구성을 위한 서버 스펙 검토 사항

↘ CPU & MEMORY 고려사항

  • CPU Socket / Processor 확인

    • 구성 시스템 대상의 Socket (CORE) 정보 확인
      • 벤치마킹 시스템 존재 시
        • 최소 CORE 갯수는 동일 또는 중분 / CPU Power(클럭) 증분 권장
      • OS Server 구성 상 CPU Clock 변경 없이 고정되도록 구성 권장 (OS 영역)
        • NUMA Off / 가변 CPU 클럭 변경 기능 등 제거
      • 최소 2 Socket (CPU갯수) 이상 구성 여부 확인
        • 단 SE의 경우 2개 이상 구성하여도, 최대 2개만 사용가능. (참고)

  • 최소 하드웨어 메모리 구성 권장 사항

    • (최소) Memory 구성
      • 최소 1Gb , 권장 2Gb 이상의 메모리 구성 권고
      • GRID 구성 시스템의 경우, 권장 8Gb 이상 메모리 구성 권고
      • 최소 Memory 요건은 설치 구축 요건이므로, 시스템에서 필요한 메모리 산정 필수

    • (기존 및 참고 시스템 존재 시)
      • 최소 요건을 충족을 위한 최소 요건 이상의 SPEC 준비
      • 기존 DBMS에서 사용 중인 메모리 및 설정 값 보다 최소 30% 이상 증분하여 구성
        • 최소 요건이며, 실제 시스템 사용량 및 DBMS의 메모리 점유율 및 효율을
          검토하여 시스템 사이징을 증분하여 구성할 것을 권고

원본 링크

➽|LINUX: Hardware 검증 방안

  • CPU / Processor / Memory 확인

    # Env Root - Linux 기준
    lscpu
    cat /proc/cpuinfo | 
    # Env Root - Linux 기준
    free -k
    cat /proc/meminfo | grep "MemTotal"
    cat /proc/meminfo | grep "Huge"
원본 링크

➽|LINUX: OS 최소 구성 - 기본 검증

ORACLE 설치 구성 OS 설정 #1 - LINUX

↘ OS KERNEL 및 PLATFORM 구성

  • DBMS 서버 Kernel 정보 확인 방안

    hostnamectl
    cat /etc/os-release
    cat /etc/redhat-release
    cat /etc/oracle-release
    lsb_release -id
  • DBMS 구성 가능한 최소 OS Kernel 정보 검토

    • 아래 기본 정보 기준 Oracle MOS 상 Certification 정보 사전 검토 필수
    • 각 OS Platform 별로 DBMS 구성 가능한 최소 Kernel 버전 존재
    • 해당 Kernel 버전보다 큰 OS Platform 구성 필수

↘ OS RUNLEVEL 및 DISPLAY 구성

  • OS Boot Level 지정 중, 아래 두개 옵션 구성 필수

    • Multi User : 3
    • Multi User + GUI : 5
    • 즉 Linux Platform 에서 유지보수 모드가 아닌 유저 접속 가능 필요.
      # Env Root
      runlevel
      who -r
      systemctl get-default
  • OUI 구성을 위한 Display 환경 구성 필수

    • Local / Remote Virtual Display 환경 구성 필수
      • 구성 간 최소 1024 X 768 해상도 지원 필요
      • OUI를 통한 구성 필수 사항 , 구성 X 시 Silent 구성
    • ORACLE 설치 간 OUI 통한 구성을 권장.

↘ OS BOOT(GRUB/EFI) 구성

  • Linux for Oracle 관련 구성 기능 검토 사항
    • NUMA 관련 기능
      • Linux NUMA는 다중 CPU 환경에서 메모리 효율을 위해 메모리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
      • Oracle Database의 경우 공유메모리 환경구성 상 NUMA 기능이 성능 효율을 떨어뜨림.
      • numa=Off 권장

    • THP , Transparents Huge Pages - Disabled 권장
      • Linux 메모리 관리 기능 중 HugePage 기능을 사용하여 성능 개선을 위하여
        Standard HugePages만 사용 권고.
      • Linux 6 이상 버전부터 구성 가능. (+SUSE11)
      # Env Root
      cat /sys/kernel/mm/redhat_transparent_hugepage/enabled
      cat /sys/kernel/mm/transparent_hugepage/enabled
        # Default : [always] madvise never
        # 해당 기능 Server Boot 부터 [never] 옵션 필요
       
      # 구성 방안
      # /etc/default/grub 파일 백업 후 값 수정
      cp /etc/default/grub /etc/default/grub_org
        
      vi /etc/default/grub
        # ==> GRUB_CMDLINE_LINUX 값 quiet 값 뒤에 아래 라인 추가
        # numa=off transparent_hugepage=never
        
      grub2-mkconfig -o /boot/grub2/grub.cfg
        # 이후 서버 Reboot 후 값 변경 확인

↘ OS KERNEL 구성 검증

OS/DBMS 버전별 최소 요구 OS/KERNEL 검증 필요


원본 링크

➽|RAC: Network 구성 검증

RAC 구성, GI/DB 구성에 필요한 최소 네트워크 환경 수준

↘ RAC Network 구조 요약

↘ RAC Network 검토 및 검증사항

RAC - H/W Network 필수 검토 사항

  • H/W 이중화 구성 여부 - Public / Private Network 일체
    • NIC 이중화 구성 검토 / SERVER 상에서 네트워크 물리 이중화 가능여부 확인
      • Bonding 구성 가능 (일부 OS Link Aggregation 지원)
        • Active / Standby , Active / Active 구성 가능
        • 단 Active / Active 구성일 경우 Switch 구성 간 Slave Interface 장애 시
          살아남은 다른 Active에서 구성 전환에 문제 없는지 확인 필수
          • Switch 상에서 Active-Active Failover 장애 기능 처리 및 지원여부 확인

    • Network Switch 이중화 구성 여부 검토
      • Network Switch 이중화 구성을 권장.
      • NIC 이중화 구성 시 Network Switch 또한 이중화 구성 가능 검토
      • Switch 이중화 구성시 Switch 간(Cross) 통신도 가능하도록 구성 검증 필수

  • 네트워크 구성 일반/최소 검토 권고 사항
    • Zero Network 사용 금지 (169.254.X.X 대역)
      • 전체 RAC 구성 NODE 일체
      • Linux Server 중 USB 연결, 외부연결 등의 장치를 해당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존재
        대표적으로 ILOM 존재하는 서버의 경우 OS와 통신을 위해 연결되는 경우도 있음.
      • 서버 구성 간 Zero Network 사용 여부 필수 검증 (SERVER/OS PART)

    • Oracle RAC의 HAIP는 기본적으로 Zero Network 대역으로 통신
      • HAIP는 RAC의 내부 통신을 위해 구성되며, Interconnect 대역으로도 불림.
      • Oracle Grid Infrastructure에 의해 자동관리
      • Private Network 구성을 기반으로 VIP(Virtual IP)로 구성됨
      • 기본적으로 168.254.X.X IP 중 랜덤하게 할당.
        이 구성을 RAC에서 HAIP 리소스로 관리.

    • Interconnect 대역 동작 방식 - 장애 발생 위험성
      • Interconnect IP 통신은 기본적으로 Unicast / BroadCast를 사용
      • RAC로 구성된 전체 노드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모든 서버가 응답할때 까지
        RAC노드는 모두 대기하거나 정지됨 > Network 장애로 판단, Brain-Split 조건
      • Brain-Split 발생 시, RAC노드 중 장애로 판단된 서버를 중지 (CRS HANG) 발생
      • 즉 RAC구성 노드 간 Zero Network 대역은 Oracle이 사용하는 용도 외
        IP 할당 및 사용 금지 필수


    • DNS 구성 관련 검토 사항
      • DOMAIN 사용 가능, 단 설치/구축 이후 구성 권장
      • DNS DOMAIN 사용시 인식되는 서버의 이름 (node.domain.io)
        형태가 설치 전 서버의 이름을 지정될 시, 이후 노드명 관리가 어려워짐
      • 실제 RAC에서 Full-Spec 경우 DNS Server 3개 필요
      • 미구성 후 구축 및 운영 가능

    • NTP 구성 관련 검토 사항
      • 시간 동기화를 위한 구성 가능
      • RAC는 프로세스 통신을 통해 시간 동기화를 맞추는 기능도 제공함.
      • 단 전체 IT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구성시 아래 3가지 사항 고려
        • 시간 동기화는 실시간 또는 Polling Time의 Delay가 10s 미만으로 구성 필수
        • chronyd 구성 시 time 서버는 2개 이상 구성
        • ntpd 구성시 ntpd 프로세스 옵션상 -x 옵션 구성 필수

↘ RAC Network 역할 및 권장사항

Network Role권장사항

(H/W) : Public Network
- Service Network (DB)
- Public IP
- Hostname IP

최소 필요 IP : 클러스터 노드 * 2 (각 노드 당 최소 1개)
- Public Network 구성의 물리IP (HOSTNAME IP)
+ 오라클 기준 서버관리 IP
+ Network Protocol : TCP / UDP

- Public Network 구성 간 NIC H/W 이중화 권고
+ 최소 1GbE 이상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스위치 사용
+ DB Service를 제공하는 물리 네트워크(서비스망)
+ 서비스망 네트워크 속도에 맞춰서 구성

(VIP) : Virtual Network
- Virtual IP
- Service IP
(Per Node)

최소 필요 IP : 클러스터 노드 * 2 (각 노드 당 최소 1개)
- 각 Node 별 DB Service를 제공하는 가상 IP
+ Node의 물리 Public Network 별로 1개씩만 등록 가능
+ Grid Infrastructure에서 관리되는 Network 리소스

- Public Network Interface 장치를 공유해서 구성
+ Public NIC 이용, 가상 Network IP 할당
+ Public Network 대역과 동일 대역 IP 필요
+ Virtual Network의 성능은 Public Network 성능과 동일

(VIP) : SCAN Network
- Virtual IP
- Service IP
(Per Cluster)

최소 필요 IP : 클러스터 시스템 당 1개 (최소 1개 ++)
- RAC Cluster의 Service Load Banlance IP (Round-Robin)
+ SCAN IP의 경우 Cluster 당 최소 1개등록, 추가 가능.
+ Grid Infrastructure에서 관리되는 Network 리소스

- Public Network Interface 장치를 공유해서 구성
+ Public NIC 이용, 가상 Network IP 할당
+ Public Network 대역과 동일 대역 IP 필요
+ SCAN Network의 성능은 Public Network 성능과 동일
(H/W) : Private Network
- Private IP
- Interconnect Network
- Interconnect IP (VIP)

최소 필요 IP : 클러스터 노드 * 2 (각 노드 당 최소 1개)
- Private Network 구성의 물리IP (HeartBeat Network)
+ Database Internal Network (Interconnect)
+ Grid Infrastructure Network
+ RAC Node들 간에만 통신 가능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성 필수!
+ Public Network와 다른 Network 대역 필수!

- Private Network 구성 간 NIC H/W 이중화 권고
+ 최소 1GbE 이상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스위치 사용
+ 1GbE 이상의 성능 구성 권장 (Interconnect 성능과 직결)
+ Network Protocol : TCP

- Private Network 구성 간 Switch 이중화 권고
+ 별도의 L2 Spec 이상의 Switch로 구성된 H/W 구축 권고
+ 이중화 구성 시, Switch 간/Port 간 통신 가능 여부 검토
+ Switch VLAN 구성 적용 가능
+ VLAN 구성시 Network BandWidth 개런티 필요

- Private Network 구성 간 MTU 관련 권장 사항
+ MTU 9000 구성 권장
+ SERVER/SWITCH 모두 설정 필수 (PORT 설정)
+ Switch 이중화 구성 시, Switch 간 통신도 MTU 변경 필요

(H/W) : ASM Network
- (OPTION) ASM IP
- 18c New Feature

( 옵션 구성 )
최소 필요 IP : 클러스터 노드 * 2 (각 노드 당 최소 1개)
- 18c Above Version

- Private Network과 ASM Network 분리 환경 필요 시 구성
+ 기본적으로 Private Network에서 ASM Network 트래픽 처리
+ Network Protocol : TCP

- 구성시 ASM Network 구성 H/W 이중화 권고 사항
+ 구성시, Public/Private Network와 별도 대역 및 IP 필요
+ 물리적 NIC/Switch 이중화 권고는 Private Network와 동일
  • RAC 최소 구성 기준 필요 네트워크 정보 ( 2 Node 기준)
    • 총 7 ea IP / 2 ea Network 대역 필요
      • (H/W) Public Network : 2 ea (Network 1)
      • (H/W) Private Network : 2 ea (Network 2)
        • ASM Network 겸용
      • (VIP) Virtual Network : 2 ea (Network 1)
      • (VIP) SCAN Network : 1 ea (Network 1)
        • SCAN의 경우, 설치 구축 후 제거 또는 사용X 가능
원본 링크

➽|PRODUCT ENGINE 영역 최소 요건

데이터베이스 구축 엔진 영역 구성 (FileSystem) 권장 사항

  • 파일 시스템 필수 요소 및 사이징 요건
    • Oracle Install Path : $ORACLE_HOME $ORACLE_BASE
      • 별도의 공간 할당 권장 (OS root 영역, / 과 분리된 볼륨)
        • 최소 LVM 형태이거나 별도의 RAID 된 볼륨에 구성을 권장.
        • LVM 형태가 아닌 디스크 자체를 사용 시 필수 FDISK 파티션이 된 볼륨 사용.

      • 최소 15Gb 이상의 공간을 할당
        • 권장 : 50Gb 이상, 여유 가능 시 100Gb 이상 구성 권고 (ORACLE)
        • GI/DB 별 Edition 별로 사이즈가 다르나, 기본 10Gb 미만.
        • 단 패치 및 패치백업 공간, DBA작업등의 요건으로 인해 권장사항으로 가이드.

      • BASE / HOME 경로 분리 가능하나 각 마운트포인트 별로 상기 권장사항 적용.
        • 생성된 경로는 Oracle User/Group 소유권 변경 필수.
      • 해당 경로 생성 시 ASCII 캐릭터셋으로만 경로명 지정 가능.
      • 경로 지정 금지 사항
        • Symbolic Link를 통한 구성 X
        • Root (/) 상에 구성 X

    • Swap FileSystem 관련 (Memory , RAM 기준)
      • HugePage 사용할 경우, 계산하는 Memory의 양에서 HugePage 할당 공간은 제외.
      • 8Gb 초과 , 최소 16Gb 이상 구성
      • 8Gb 이하 , 메모리 사이즈의 2배만큼 구성
      • Swap 사이즈에 대한 OS 파트의 권고 사항 존재 시
        • 최소 사이즈 이상 값이 경우 OS 파트 값대로 구성
        • 최소 사이즈 이하 값일 경우 오라클 권고대로 구성

    • /tmp 관련
      • /tmp 공간이 최소 1Gb 이상, 최소 10Gb 이상 권장

    • /dev/shm 관련 (Only Linux)
      • /etd/fstab에 해당 영역 Mount Point 작성 여부 및 Mount 여부 확인
      • tmpfs 타입으로 Mount되어야 함
        • rw / exec 권한 작성 여부 확인 (기본 rw/exec 부여)
        • noexec / nosuid 권한은 부여 X
      # Env Root
      free -m
      df -h /tmp
      df -h /dev/shm
        
      cat /proc/meminfo | grep "MemTotal"
      cat /proc/meminfo | grep "SwapTotal"
      cat /proc/meminfo | grep "Huge"
      cat /proc/meminfo
원본 링크

➽|RAC: DATA STORAGE 최소 요건

RAC 데이터베이스(GI+DB) 최소 스토리지 권장 사항 (엔진영역 제외)

↘ RAC STORAGE 구조 요약

↘ RAC STORAGE 검토 및 검증 사항

RAC - H/W Storage 필수 검토 사항

Oracle Standalone Cluster 구성 상 Storage Layer는 공유 볼륨 환경 필수

  • ASM 상에서 관리되는 공유 볼륨은 ASM Diskgroup 단위로 분류됨
    • ASM Diskgroup는 ASM_DISK의 집합체

  • Oracle RAC 기준 공유 볼륨은 RAC 시스템을 이루는 모든 노드에서
    동시 읽기 쓰기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 (No Reserved)
    • 모든 노드의 볼륨은 동일한 장치와 위치(Device Path)로 구성되어야함 (Oracle 인식기준)

  • Orace RAC에 구성되는 공유 볼륨은 Grid Infrastructure와 Database만을 위한 볼륨
    • Oracle Cluster Storage로 사용되는 공유 볼륨 요건
      • Shared Storage > Oracle ASM 또는 Shared File System 형태로 구성
        • 공유 볼륨으로 구성되는 스토리지는 Oracle RAC의 소유자/권한으로 구성 필수
      • Oracle ASM / VCFS 구성에 따라 요구되는 OCR/VOTE 영역의 구성 및 Redundancy 옵션이 다름

  • Block Device
    • Multipath Device > I/O Multi Path를 제공하여 I/O 처리하는 형태
      • /dev/mapper or /dev/emcpower > /dev/dm-*
      • Native Multipath / EMC PowerPath(emc power) 등 Mapper Device
      • 일반적으로 RAC를 구성하기 위한 권장 옵션
    • RawDevice > Block Device를 RawDisk로 구성하는 형태
      • /dev/raw
      • 11g 이하 버전에서만 제공되는 옵션,
        이상버전의 경우 Raw Device를 DBMS에서 인식되는 블록장치로 제공되지 않음

  • Shared File System
    • VCFS > Veritas Cluster File System
      • 베리타스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공유 파일시스템 형태로 구성
      • OCR/VOTEDISK 구성을 위해 분리된 공유파일 시스템 볼륨을 구성.
        • 서로 다른 최소 3개이상의 공간 필요 (Mount Point)
      • I/O Throughput 및 구성은 VCFS 통해 수행 및 관리 필요.

RAC : ASM Diskgroup 구성 가이드라인 - 디스크 구성 필수사항

  • Storage 상 ASM_DISK 생성 시 검토 사항
    • 스토리지의 물리적 LUN 구성 간 RAID 등 하드웨어 레벨의 로드밸런싱 검토 및 적용 필수
    • 디스크그룹 구성하는 ASM_DISK (Storage LUN or Physical Disk) 구성 간
      디스크 컨트롤러의 배수로 ASM 디스크 개수를 구성할 것을 권장

    • ASM_DISK의 사이즈는 스토리지 상에서 최적의 퍼포먼스로 동작 가능한 사이즈로 구성
      • 스토리지 전문가의 스토리지 구성에 따른 분석 및 사이즈 권고안 필수!
      • 스토리지의 볼륨 사이즈 최적 권고안 필요 (OS/STG Part의 권고값 필요)
        • Storage 및 Disk Controller 상의 Spec 검토
        • 볼륨 I/O 블록 사이즈(Sector Size) 및 I/O Throughput 최적안 검토
          • 각 스토리지 벤더사 제공 문서 확인검토 필수 (STG Part)

      • 각 디스크그룹을 구성하는 ASM_DISK는 Bytes 단위로 모두 동일 사이즈로 구성 필수
        • 향후 디스크그룹 증설의 디스크 추가시에도 같은 사이즈로 증설 필수
        • ASM Striping / Rebalance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함

  • Server OS 상 ASM_DISK 생성 시 검토 사항
    • Block Device 구성 후 필수 검토 사항 > Oracle ASM_DISK 전환
      • ASM_DISK로 사용하기위한 구성 장치 소유자/권한 관리를 위한 검토 옵션
      • 기본 블록장치인 /dev/sd* 형태는 사용 절대 금지
      • 소유자/권한의 구성은, 서버 Reboot 시에도 유지될수 있도록 구성

      • OS 상에서 OS Partition 구성 필수 (Not Formatting)
        • 디스크/볼륨 자체로 사용 시, OS 및 STORAGE 상의
          Volume Header 조작 및 관리 상의 문제 회피를 위함.

      • (OPT#1) Oracle ASM Library
        • Oracle에서 제공하는 oracleasmlib 이용하여 Block Device를 관리
        • 구성된 장치의 경우, /dev/oracleasm 위치 상에서 소유자/권한 관리하는 방식
          • 각 블록장치의 헤더/레벨을 인식해서 별도의 블록장치로 구성하는 형태
        • OS/STG 영역과 별개로 DB 관리 차원에서 별도 스토리지 장치를 관리하는 방안
          • 시스템 관리 시 이중 관리 포인트로 작용 (OS/STG/DB Part)

        • (참고사항) ASM Filter Driver - AFD
          • 12cR2 이상버전부터 GI 엔진 내장 기능중 OS 상 접근 보안기능을 추가한
            AFD를 이용하여 H/W 디스크 관리가능하나, 권장하지않음.
          • 해당 기능 사용시 OS 상에서도 해당 디스크장치를 ACCESS하지 못함.

      • (OPT#2) UDEV 통한 Block Device 관리
        • OS/STG 상에서 블록 장치를 관리하는 형태
          • OS 상에서 udev 통한 소유자/권한 관리 방식
          • Grid 유저 소유 / 0660 구성 필수
        • /etc/udev/rules.d 상 프로파일을 이용, 블록 장치 관리
        • DB Engineer 관점 구성 권장사항

    • 디스크그룹의 AU_SIZE 고려사항
      • Redundancy 옵션에 따른 AU_SIZE는 Storage Sector Size 및 성능을 고려하여 산정
      • 기본 값은 External 옵션의 경우 4MB, 중복 옵션을 지정한 그룹의 경우 1MB로 구성 권장
        • AU Size는 (1/2/4/8/16/32/64 MB)의 옵션 값 존재
        • 최초 디스크그룹 구성에 선택한 AU_SIZE를 재구성하기 위해선 재생성 필수
      • Storage 상의 I/O Block Size(Sector Size)의 배수로 구성을 권고
        • 물리 Sector Size 기준의 배수
  • Redundancy 옵션 검토 사항
RedundancyMultiplexMin DiskDefault AU_SIZE
- External데이터 이중화 X1EA 1 Set- 4 MB
- Normal데이터 이중화 O2EA 1 Set- 1 MB
- High데이터 삼중화 O3EA 1 Set- 1 MB
  • Oracle ASM에서 제공하는 ASM Diskgroup의 데이터 복제 요건 (Logical)
    • 논리적으로 지정된 복제옵션에 따라 Disk Group 내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복제 관리함.
    • 실제 사용가능한 Disk Group의 사용량은 Redundancy 옵션에 따라 다름
  • 지정된 ASM Diskgroup Redundancy는 최초 ASM Disk group 생성 시 지정됨
    Redundancy 변경을 위해선 Disk Group 재생성 필수
  • 위 Diskgroup의 Redundancy 기준으로 디스크가 구성/변경/추가 되어야함.

RAC : ASM Diskgroup 구성 가이드라인 - OCR/VOTEDISK

(필수/최소) Oracle 19c Clusterware Storage Space (ASM 필요 영역) GuideLine

  • ASM 구성 시 클러스터 관리를 위한 디스크 그룹 1개 필수 지정
  • VCFS의 경우, 최소 3개의 분리된 파일시스템 구성 필수
    • Redundancy 옵션에 따름
DiskGroupRole

OCRVOTE DG

Oracle Clusterware (GI,Grid Infrastructure)의 MetaData 관리
- GI의 Cluster 기능을 유지하는 OCR/Vorting Disk의 구성 대상

+ OCR : Oracle Cluster Ready Service, GI 리소스 및 구성 정보
+ VOTE/Vorting Disk : GI Cluster Alive Check를 위한 구성 파일
- Membership Logic : Disk I/O Check
RedundancyMultiplexMin DiskDisk per Min Size
- External데이터 이중화 X1EA (1/1 요구)- 2GB
( Default 1GB / Provision 1GB )
- Normal데이터 이중화 O3EA (2/3 요구)- 2GB
( Default 1GB / Provision 1GB )
- High데이터 삼중화 O5EA (3/5 요구)- 2GB
( Default 1GB / Provision 1GB )
# Grid MetaData - 디스크그룹 사이즈 공식
Total Size = 
  ( 2 * ausize * Disks )
+ ( Redundancy * ( ausize * (all_client_instances + nodes + disks + 32 )  
+ ( 64 * nodes ) + clients + 543 ) 
 
   - redundancy = 미러 수 : 외부 = 1, 일반 = 2, 높음 = 3, flex = 3
   - ausize = 메타데이터 AU 크기(MB)
   - all_client_instance = 모든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및 ACFS 프록시 인스턴스의 합계
   - nodes = 클러스터에 있는 노드 개수
   - clients - 각 노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개수
   - disks - 디스크 그룹의 디스크 개수
  • 최소 디스크 수의 경우, (OCR/Vorting Disk 요구)되는 최소 디스크 값 요건
    • OCR/VOTE구성 간 이중화 (또는 삼중화) 구성 권장!
    • OCR/VOTE구성을 위한 Diskgroup 구성 시 데이터 복제(Redudnacy) 옵션 요구사항 중,
      Vorting Disk 구성에 있어 디스크 하드웨어가 홀수로 구성되는 필수 제약사항 존재

↘ RAC GIMR 고려사항 (MGMT_DB)

(OPTION) 19c Grid 관리 구성요소(GIMR,MGMTDB) 구성 간 고려사항

  • Oracle RAC 상의 H/W 및 RAC Operation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

    • Support 지원 상 제공 가능한 시스템 분석정보 자동 관리 (+ AHF/TFA)
    • 12cR1 부터 Oracle Grid Infrastructure 통해서 제공
    • 별도의 DB가 자동구성 되며 (_MGMTDB) 해당 DB에 데이터적재, 별도의 툴로 정보 확인

  • Oracle 19c Version 부터 해당 기능은 Optional하게 구성 가능

    • 구성 필요시 별도의 디스크그룹을 구성할 것을 권고
    • GIMR을 대체할 여러 유틸리티들이 존재하고 Real-Time 모니터링의 특성상
      부하 발생 및 Bug 등으로 인한 사이드임펙트 존재.
      • OSWatcher / ORACHK / ORATOP 등의 대체 유틸리티 존재
  • GIMR 구성시 분리 대상 ASM_DISKGROUP 구성 요건

DiskGroupRole

MGMT DG

Oracle GIMR을 위한 별도 DIskgroup 관리
- Oracle RAC의 진단정보 수집(OS/GI/DB) 및 관리용 DB(_MGMTDB)를 위한 영역
- GIMR 구성시, 별도 Diskgroup 미분리 시
+ OCRVOTE용 디스크그룹과 병합되어 구성되므로 GIMR 구성시 DG 분리 필수
RedundancyMultiplexMin DiskDisk per Min Size
- External데이터 이중화 X1EA- 28GB
( 4 개 이상 Node 당 5GB 추가 )
- Normal데이터 이중화 O2EA 이상- 56GB
( 4 개 이상 Node 당 5GB 추가 )
- High데이터 삼중화 O3EA 이상- 84GB
( 4 개 이상 Node 당 5GB 추가 )
원본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