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Env root# ->> IO 테스트 모니터링 방안# + IO 테스트 간 iostat 및 top 모니터링 수행# + time 명령어 결과치 확인 후 시간대비 사이즈를 나눠 초당 속도 확인# + Storage 상에서 부하 측정치 확인 및 tps 확인 병행## ->> {DB_STG_FS}# + File System일 경우, 해당 볼륨의 file명까지 명시# ->> {DB_STG_VOLUME}# + BlockDevice 경우, 해당 블록장치명 전체 절대경로로 명시# + File System일 경우 hdparam 사용시 블록장치로 확인# 10G 테스트 - WRITE (ZERO TEST) / 4K 1M / No IO Cachetime dd if=/dev/zero \ of={DB_STG_FS} \ bs=4096 count=2621440 oflag=directtime dd if=/dev/zero of={DB_STG_VOLUME} \ bs=1048576 count=10240 oflag=direct# 10G 테스트 - READ (FILE READ) / 4K 1M / No IO Cachetime dd if={DB_STG_FS} \ of=/dev/null \ bs=4096 count=2621440 oflag=directtime dd if={DB_STG_VOLUME} \ of=/dev/null \ bs=1048576 count=10240 oflag=direct# OS CHECK 명령어 - hdparmhdparm -Tt {DB_STG_VOLUME}
아래 기본 정보 기준 Oracle MOS 상 Certification 정보 사전 검토 필수
각 OS Platform 별로 DBMS 구성 가능한 최소 Kernel 버전 존재
해당 Kernel 버전보다 큰 OS Platform 구성 필수
↘ OS RUNLEVEL 및 DISPLAY 구성
OS Boot Level 지정 중, 아래 두개 옵션 구성 필수
Multi User : 3
Multi User + GUI : 5
즉 Linux Platform 에서 유지보수 모드가 아닌 유저 접속 가능 필요.
# Env Rootrunlevelwho -rsystemctl get-default
OUI 구성을 위한 Display 환경 구성 필수
Local / Remote Virtual Display 환경 구성 필수
구성 간 최소 1024 X 768 해상도 지원 필요
OUI를 통한 구성 필수 사항 , 구성 X 시 Silent 구성
ORACLE 설치 간 OUI 통한 구성을 권장.
↘ OS BOOT(GRUB/EFI) 구성
Linux for Oracle 관련 구성 기능 검토 사항
NUMA 관련 기능
Linux NUMA는 다중 CPU 환경에서 메모리 효율을 위해 메모리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
Oracle Database의 경우 공유메모리 환경구성 상 NUMA 기능이 성능 효율을 떨어뜨림.
numa=Off 권장
THP , Transparents Huge Pages - Disabled 권장
Linux 메모리 관리 기능 중 HugePage 기능을 사용하여 성능 개선을 위하여
Standard HugePages만 사용 권고.
Linux 6 이상 버전부터 구성 가능. (+SUSE11)
# Env Rootcat /sys/kernel/mm/redhat_transparent_hugepage/enabledcat /sys/kernel/mm/transparent_hugepage/enabled # Default : [always] madvise never # 해당 기능 Server Boot 부터 [never] 옵션 필요# 구성 방안# /etc/default/grub 파일 백업 후 값 수정cp /etc/default/grub /etc/default/grub_orgvi /etc/default/grub # ==> GRUB_CMDLINE_LINUX 값 quiet 값 뒤에 아래 라인 추가 # numa=off transparent_hugepage=nevergrub2-mkconfig -o /boot/grub2/grub.cfg # 이후 서버 Reboot 후 값 변경 확인